2-아라키도노일글리세롤

2-아라키도노일글리세롤
이름
IUPAC 이름
1,3-dihydroxy-2-propanyl (5Z,8Z,11Z,14Z)-5,8,11,14-eicosatetraenoate
별칭
2-arachidonoylglycerol,
2-AG
식별자
  • 53847-30-6 예
3D 모델 (JSmol)
  • Interactive image
ChEBI
  • CHEBI:52392 예
ChEMBL
  • ChEMBL122972 예
ChemSpider
  • 4445451 예
IUPHAR/BPS
  • 729
PubChem CID
  • 5282280
UNII
  • 8D239QDW64 예
CompTox Dashboard (EPA)
  • DTXSID001017454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
  • InChI=1S/C23H38O4/c1-2-3-4-5-6-7-8-9-10-11-12-13-14-15-16-17-18-19-23(26)27-22(20-24)21-25/h6-7,9-10,12-13,15-16,22,24-25H,2-5,8,11,14,17-21H2,1H3/b7-6-,10-9-,13-12-,16-15- 예
    Key: RCRCTBLIHCHWDZ-DOFZRALJSA-N 예
  • InChI=1/C23H38O4/c1-2-3-4-5-6-7-8-9-10-11-12-13-14-15-16-17-18-19-23(26)27-22(20-24)21-25/h6-7,9-10,12-13,15-16,22,24-25H,2-5,8,11,14,17-21H2,1H3/b7-6-,10-9-,13-12-,16-15-
    Key: RCRCTBLIHCHWDZ-DOFZRALJBN
SMILES
  • O=C(OC(CO)CO)CCC\C=C/C\C=C/C\C=C/C\C=C/CCCCC
성질
C23H38O4
몰 질량 378.3 g/mol
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, 표준상태(25 °C [77 °F], 100 kPa)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.
아니오아니오 확인 (관련 정보 예아니오아니오 ?)
정보상자 각주

2-아라키도노일글리세롤(영어: 2-arachidonoylglycerol, 2-AG)은 CB1 수용체의 내인성 작용제 및 CB2 수용체의 1차 내인성 리간드엔도칸나비노이드이다.[1][2] 오메가-6 지방산, 아라키돈산글리세롤로 형성된 에스터이다. 이것은 중추신경계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며, 칸나비노이드 신경 조절 효과가 있다. 모체 소와 모유에서 발견되었다. 이 화학 물질은 1994-1995년에 처음 설명되었지만 그 이전에 발견되었다. 포스포라이페이스 C(PLC) 및 다이아실글리세롤 라이페이스(DAGL)의 활성은 이것의 형성을 매개한다. 2-아라키도노일글리세롤은 아라키돈산을 함유한 다이아실글리세롤(DAG)로부터 합성된다.

같이 보기

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
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.
2-아라키도노일글리세롤

각주

  1. Stella N, Schweitzer P, Piomelli D (August 1997). “A second endogenous cannabinoid that modulates long-term potentiation” (PDF). 《Nature》 388 (6644): 773–8. doi:10.1038/42015. PMID 9285589. 
  2. Sugiura T, Kodaka T, Nakane S, 외. (January 1999). “Evidence that the cannabinoid CB1 receptor is a 2-arachidonoylglycerol receptor. Structure-activity relationship of 2-arachidonoylglycerol, ether-linked analogues, and related compounds”. 《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》 274 (5): 2794–801. doi:10.1074/jbc.274.5.2794. PMID 9915812. 
  • v
  • t
  • e
아미노산 유래
주요 흥분계 /
억제계
글루탐산계
GABA계
글리신계
GHB계
생체 아민
모노아민
미량 아민
기타
신경펩타이드
  • 대신 여기를 참조
지질 유래
엔도카나비노이드
  • 2-아라키도노일글리세롤 (2-AG)
  • 2-아라키도노일 글리세릴 에터 (2-AGE)
  • 2-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(2-ALPI)
  • 2-올레오일글리세롤 (2-OG)
  • 아라키도노일 세로토닌 (AA-5-HT)
  • 아난다마이드 (AEA)
  • 도코사테트라엔오일에탄올아마이드 (DEA)
  •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(LPI)
  • N-아라키도노일 도파민 (NADA)
  • N-아라키도닐글리신 (NAGly)
  • 올레오닐에탄올아마이드 (OEA)
  • 올레아마이드
  • 팔미토일에탄올아마이드 (PEA)
  • RVD-Hpα
  • 스테아로일에탄올아마이드 (SEA)
  • 비로드하민 (O-AEA)
신경스테로이드
  • 대신 여기를 참조
핵염기 유래
뉴클레오사이드
아데노신
비타민 유래
기타
콜린작동성계
기체전달물질
후보물질
이 글은 생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.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.